티스토리 뷰

목차



    아로마

     

    에센셜 오일의 사용과 관련된 유해성 및 위험은 다음과 같다. 

    • 독성
    • 피부 반응
    • 신경 독성
    • 간독성
    • 임신 중의 위험

    독성

     독성은 일반적으로  '중독'이라고 불리며, 일정 수준에서 치명적일 수 있다. 아로마테라피에서 독성은 적용 방법에 따라 좌우 된다. 아로마테라피에 사용되는 에센셜 오일의 독성은 대개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 구강 독성
    • 피부 독성

     구강 독성이란 물질을 입으로 삼켜서 섭취했을 때 나타나는 독성의 정도를 말한다. 피부 독성은 물질이 피부를 통해 흡수될 때 나타나는 독성의 정도이다. 두 가지 유형의 독성은 생물을 죽이는 데 필요한 치사량에 의해 결정된다. 가장 큰 위험은 경구 독성이다. 독성과 관련된 대부분의 사건들은 경구 투여에서 비롯되었다.

     독성은 보통 급성 또는 만성으로 분류된다. 급성 독성은 일반적으로 에센셜 오일의 단회 투여를 비롯한 단기간 사용의 결과이며, 사망을 초래할 수 있다. 투여량이 치사량보다 적으면 간이나 신장에 손상을 줄 수 있다. Balacs는 클로브 오일을 섭취한 어린이가 사망할 뻔한 사례를 인용한다.

    두 살짜리 소년이 밀봉되지 않은 용기에 든 클로브 오일 5~10ml 를 마셨다. 섭취한 지 한시간 후에 소년은 의식이 있었으나 졸리고 괴로워했다. 3시간이 지나자 깊은 혼수 상태에 빠졌고, 혈당 수치가 매우 낮았으며 산증이 나타났다. 24시간이 지나도 그 소년은 여전히 혼수 상태였으며, 동시에 간 기능 장애를 동반한 범발성 혈관 내 응고 병증의 징후를 보였다. 해파린, 혈장, 피브리노겐, 안티트롬빈Ⅲ, 단백질C및 factor Ⅶ로 치료한 지 3일 만에 아이는 회복하기 시작했다. 5일 째가 되자 소년의 신경학적 상태가 향상되었고, 다음 날 완전히 의식이 돌아왔다. 아이는 완전히 회복되었다. 저자는 에센셜 오일을 밀봉되지 않은 용기에 담아서는 안되며, 라벨링은 보다 명확해야 한다고 말한다.

     만성 독성은 소량의 에센셜 오일을 장기간 사용 시 나타난다. Lassak은 만성 독성의 한 예시를 인용한다.

    그는 지난 5년 동안 감기를 피하고 기분이 좋아지려고 유칼립투스 오일 5-10 방울을 마셔왔던 것으로 보인다. 그 5년 동안 그는 불편함을 느꼈고, 간에 통증을 느끼기 시작했다. 병원에 입원하여 검진을 받았을 때 수간호사는 그가 간경화로 인해 통증이 있으며 유칼립투스 섭취를 즉시 멈추지 않으면 그의 상태는 더욱 악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술을 입에도 되지 않았던 사람이었다. 현 상태의 원인은 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해 그가 정기적으로 복용한 물질인 cineole일 가능성이 높다.

     만성 독성은 일반적으로 장기 조직 손상, 간과 신장의 퇴행성 변화를 일으킨다. 결국에는 사망에 이를 수 잇지만, 문제는 치사율 보다는 느리게 조직 손상이 일어난다는 것이다. 만성 독성은 대개 경구 투여에 의한 것이며, 경피 투여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고 가정하는 것이 맞다.

     

    중독

    중독

     Tisserand와 Young은 에센셜 오일의 모든 중독 사례가 정상적인 치료 용량보다 훨씬 높은 용량으로 경구 투여했을 때 발생한 것이라고 말한다. 다음 오일은 중독 사례를 자주 보인 오일들이다.

     

    캠퍼, 시나몬, 시트로넬라, 유칼립투스, 히솝, 넛맥, 파슬리, 페니로얄, 세이지, 튜자, 사사프라스, 윈터그린, 웜우드, 웜씨드

     여기에 해당하지 않는 오일이 안전하다는것은 아니다. 많은 양으로 섭취한 에센셜 오일은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드물게 우발적으로 섭취했을 경우 일반안전지침(General Safety Guildelines)의 응급 처치 절차를 참조하기 바란다.

     

     중독의 대부분의 경우는 어린이와 관련된다. Tisserand와 Young은 유칼립투스 오일과 관련된 호주의 보고서에서 5세 이하의 어린이 109명 중 78명이 기화(흡입) 용도의 용액을 섭취했다는 내용을 인용했다.

     

     

    독성 에센셜 오일

    Tisserand와 Young은 다음의 에센셜 오일을 설치류 LD50 값에 근거하여 중등도 경구 독소 오일로 규정한다.

     버터 아몬드(비정류), 볼도(boldo), 칼라무스, 히말라야 시더우드, 웜씨드, 화이트 웜우드, 튜자

    그들은 다음과 같은 에센셜 오일이 중등도 피수 독소라고 말한다.

    볼도, 카시아, 시나몬 바크, 오레가노, 로즈 앱솔루트, 세이보리, 웜씨드

    로즈 앱솔루트는 methyl eugenol을 함유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목록에 언급되었다. 그러나 로즈의 특성에서, Tisserand와 Young은 로즈 앱솔루트의 잠재적 독성이 아로마 테라피에 사용하는 데 문제를 일으키지 않을것이라고 말한다.

     

     

    반응형